3세기의 모테트 《Amor potest conqueri》의 테너성부에서도 볼 수 있구요. 유명한 예는 14세기 영국의 카논 《Summer is icumen in》의 베이스성부에 Fes음으로 더해져 있는 것으로, 여기서는 위 4성이 이 곡의 선율에 의한 카논을 전개하는 동안, 베이스는 음형에 의한 오스티나토를 2성 카논으로 노래하는 2중 카논(canon)형식을 취하하고있고. 오스티나토는 흔히 베이스에 나타나며 이때는 바소오스티나토(basso ostinato), 또는 그라운드(ground)로 불립니다. 그러나 다른 성부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며, 프레스코발디의 《Capriccio soprai1 cucco》는 소프라노오스티나토의 예이다. 16세기에는 오스티나토의 수법이 춤곡에도 가끔 쓰여졌습니다
[무물보AI] 답변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