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조는 대단히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대응을 통해 자신의 의지를 관철한 임금으로 볼 수 있습니다. 직접 마주하는 신하들, 그리고 궐 밖 대중의 심리를 잘 읽어내고, 그걸 활용해서 적절한 정책들을 이끌어낸 면이 돋보입니다. 반면 정조는 정석대로, 성리학의 가르침을 철저히 따르면서 대단히 높은 수준의 지식을 쌓아, 스스로 최고의 경지로 나아가고자 했습니다. 이로써 자신이 모든 걸 조정할 수 있다고 여긴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세상일이 자신이 재단한 대로 들어맞지는 않았지요. 영조와 정조 모두 즉위하기까지 엄청난 고초를 겪었습니다. 그 과정과 배경이 콤플렉스로 작용했고, 두 임금 치세 내내 거기에 발목 잡힌 경우가 많았습니다. 자신의 콤플렉스를 적극적으로 극복한 적도 있었습니다만, 안타깝게도 결정적인 순간에 문제를 일으키곤 했죠. 두 군주의 성장 배경이 그들의 성격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군요.
영조의 판단 중 가장 결정적이었던 것은 역시, 사도세자의 운명을 결정한 순간이었다고 생각합니다. 당시 다른 판단으로 다른 결정을 내렸다면, 후계 구도뿐만 아니라 구한말, 대한제국으로 이어지는 역사가 분명 달라졌을 거예요. 그러나 그 흐름이 반드시 더 나은 방향으로, 근대화를 불러오고 국가가 번성하는 쪽으로 진행되었으리라 장담할 수는 없습니다. 정조의 경우는 역시, 그의 급작스러운 죽음이 가장 결정적인 순간이었다고 생각됩니다. 본인이 구상하고 시도했던 여러 정책들이 결실을 맺기 전에 죽음을 맞이하다 보니, 이후 정국도 급속한 세도정치로 기울어간 것 같은데요. 정조의 개인 성향이나 정책적 지향 등을 놓고 볼 때, 그가 더 오래 살아서 자신의 손으로 결과를 냈다면 후세에 좀 더 정확한 평가가 가능했을 것 같습니다. 강력한 개혁 의지가 정통 성리학으로의 회귀 쪽으로 기운 성격이 짙기 때문에, 18세기 세계가 나아간 근대화의 방향과는 동떨어진 부분이 많긴 합니다만…… 글쎄요, 정조가 오래 살았다면 조선도 좀 더 일찍 근대화의 길로 나아갔을 수도 있지 않을까요?
영조와 정조는 조선을 대표하는 군주입니다. 이들이 재위했던 18세기는 알다시피 전 세계적으로 다이내믹한 변화가 이루어진 시기입니다. 당시의 기록을 꼼꼼히 살피면, 조선이란 작은 나라가 임금을 중심으로 어떻게 운영되고 있었는지, 성장하는 주변 강대국들 사이에서 어떻게 생존하고 있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이 책에서는 영조와 정조가 행한 정치적 행위, 법과 제도의 집행을 살펴봄으로써, 그들이 어떤 리더십을 발휘했는지 낱낱이 밝혀보고자 했습니다. 시대가 달라지면서 리더십에 대한 평가 기준이 달라지는 부분이 물론 있습니다만, 인간의 본성과 욕망이라는 차원에서 보면 시대를 뛰어넘어 적용될 수 있는 가치들은 분명 많습니다. 가능한 한 사료에 충실하면서 판단의 근거를 최대한 풍부히 제시하고자 노력했습니다. 이 책을 통해 오늘 우리 사회의 리더십을 되짚어보는 계기를 맞이하시길 바랍니다.
[출처: YES24 통합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