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신분제도는 양인과 천인으로 구분되었습니다. 법적으로는 양인과 천인으로만 구분되었지만, 실제적으로는 양반, 중인, 상민, 천민으로 세분화되었습니다. 양반은 관직을 거의 독차지하고 특권을 누렸으며, 중인은 양반을 도와 궁궐이나 관청에서 업무를 담당했습니다. 상민은 농업, 수공업, 상업 등에 종사하며 국가에 세금을 내고 군대에 가는 등 나라를 유지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천민은 노비와 천하게 여겼던 직업에 종사했던 사람들로, 최하층 신분이었습니다.
조선 신분제도는 양천제와 반상제로 운영되었습니다. 법적으로는 양천제를 채택하고 있었지만, 실제로는 반상제로 운영되었습니다. 양천제는 사람의 신분을 양인(양반, 중인, 상민을 구분하지 않음)과 천민으로 구분하는 제도였습니다. 반면 반상제는 사람의 신분을 양반, 중인, 상민, 천민으로 구분하는 제도였습니다. 이는 특권층인 양반들이 중인이나 상민의 무리와 묶이고 싶지 않아서 세분화된 것입니다.
조선 신분제도는 양반 사회의 모순으로 인해 분열과 대립을 겪었습니다. 양반들은 관직을 차지하기 위한 치열한 경쟁을 벌였고, 토지 부족으로 인해 토지를 지급받기 어려웠습니다. 또한, 신분에 따른 사회적 제약이 컸으며, 가족과 친척을 포함하는 가문의 단결을 중요시했습니다. 이로 인해 양반 사회는 모순을 드러내며 건전한 사회로 발전하지 못했고, 이로 인해 사화가 일어나고 붕당 정치가 생겨났습니다.
[참고 자료]